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 error
- Linux
- CI/CD
- jenkins install
- REACT
- Spring Boot
- jenkins maven
- jenkins jdk
- Jenkins Pipeline
- MySQL
- JavaScript
- grpc
- gradle
- jenkins 설치
- nginx
- vue.js
- 리눅스
- subnetmask
- jenkins github 연동
- IntelliJ
- jenkins github
- Docker
- jpa
- docker network
- spring
- grafana
- 리액트
- Jenkins
- MongoDB
- Today
- Total
목록서버 (67)
뭐든 즐기면서 ;)

cat 명령어 catenate의 약어로 '연결하다' 의미를 갖고 있다. 주로 파일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되나, redirection 기호(>, >>, cat test.txt > t.txt # t.txt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This is test file. cat test.txt >> t.txt : 결과를 파일에 이어 쓰기 # '>>' 기호와 함께 명령어 실행 > cat test.txt >> t.txt # t.txt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This is test file. This is test file. 아래와 같이 응용도 가능하다. # '>>' 기호와 함께 명령어 실행 > cat test.txt t.txt >> testAndT.txt # t.txt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This is t..

ls 명령어 list, 현재 경로에 있는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 옵션 (자주 쓸만 한 것만 정리함) -l(long) : 길게, 자세한 정보화 함께 보여줌 -a(all) : 숨김 파일까지 모두 보여줌 -S(Size) : 용량이 큰 순서대로 보여줌 -h(human redable) : 용량을 보기 편하게 표시해 줌.

리눅스에서는 디스크나 하드웨어, 디바이스까지 모든 것을 파일로 인식하고, 파일로써 다룬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i-node Index Nod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 구조이다. i-node에는 파일의 권한,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생성 시간, 수정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index : 어떤 내용을 빨리 찾아내기 위해 일정한 순서로 정리해놓은 목록(=목차) node : 데이터를 갖고 있는 종단 지점.(컴퓨터, 휴대폰, 프린트 등의 장치를 의미) i-node 번호 i-node 번호는 각 파일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이다. 데이터(파일)를 빠르게 찾기 위해 순서대로 정리한 정보라고 봐도 된다. 이 번호는 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의 차이점을 정리..
jdk 설치 생략 jdk 경로 : /usr/lib/jvm/jdk-17.0.9 java 경로 : jdk 경로/bin/java javac 경로 : jdk 경로/bin/javac alternatives에 java와 관련된 실행파일 등록 sudo 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sudo 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c javac 링크 목록 확인 및 변경 > sudo alternatives --config java > sudo alternatives --config javac 2 개의 프로그램이 'javac'를 제공합니다. 선택 명령 ----------------------------------------------- *+ 1 java..
> tcpdump -i -w 캡쳐파일명.pcap > ss > ss -s # 아래 파일에서 의심되는 내용 확인하기 > vi /var/log/messages

Node 설치 : Jenkins 관리 > Global Tool Configuration > NodeJS Name : 추후 Jenkins Job 설정 시 빌드설정할 때 표시될 명칭 Version : 설치할 node version 선택 Global npm packages to install : global하게 사용할, 설치하고싶은 npm package 작성. ','를 기준으로 여러개 작성 가능. Jenkins Job 생성 : Item 추가 > ' Freestyle project' 생성 > '빌드 환경' 'Provide Node & npm bin/ folder to PATH'를 체크. 'Global Tool Configuration'에서 추가한 node를 선택하여 npm 버전을 설정해준다. 빌드 : 'Free..
chmod, chown 등으로 모든 권한을 맞춰봤음에도 문제가 생긴다면 chcon 명령어를 사용해 본다. > chcon -Rt httpd_sys_content_t [파일 || 폴더] > ls -Z #권한 확인

API 요청 기본 세팅 1. File > New 2. 생성한 file 우클릭 > Add > Threads > Thread Group 생성 = 사용자 만들기 Number of Threads : 쓰레드 개수(user 수) Ramp-up period : 쓰레드 개수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간 Loop Count : infinite 또는 n (위에 설정한 것을 반복해서 n번 요청을 반복한다.) 3. 생성한 Thread Group 우클릭 > Add > Sampler > HTTP Request = HTTP 요청 도메인 또는 IP, Port, HTTP method, 요청 path 등 설정 아래 예제는 POST 요청으로 Body에 json 형식의 데이터를 함께 보냅니다. 4. 생성한 HTTP Request 우클릭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