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ocker network
- Jenkins Pipeline
- jpa
- gradle
- jenkins jdk
- java
- grpc
- MongoDB
- JavaScript
- CI/CD
- jenkins 설치
- Jenkins
- jenkins github
- error
- subnetmask
- nginx
- jenkins github 연동
- Spring Boot
- 리눅스
- jenkins install
- jenkins maven
- 리액트
- MySQL
- vue.js
- spring
- Docker
- grafana
- Linux
- IntelliJ
- REACT
- Today
- Total
목록Linux (12)
뭐든 즐기면서 ;)

/bin (binaries) 유저가 리눅스를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한 바이너리(명령어) 파일들, 즉 컴파일된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dev (device)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특수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home 유저들의 홈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는 디렉토리. /lib (library) /bin 또는 /sbin 디렉토리의 파일들이 실행될 때,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 컴퓨터 측에서의 library는 '바로 가져다 쓸 수 있게 미리 만들어 놓은 것(프로그램?)'을 의미한다. /lib64 /lib 디렉토리에 있는 것들을 64비트 운영체제용으로 만든 것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mnt (mount) 보통 시스템 관리자들이 임시적으로 파일 시스템, 프로그램 등을 마운팅할 때 쓰는..

cat 명령어 catenate의 약어로 '연결하다' 의미를 갖고 있다. 주로 파일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되나, redirection 기호(>, >>, cat test.txt > t.txt # t.txt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This is test file. cat test.txt >> t.txt : 결과를 파일에 이어 쓰기 # '>>' 기호와 함께 명령어 실행 > cat test.txt >> t.txt # t.txt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This is test file. This is test file. 아래와 같이 응용도 가능하다. # '>>' 기호와 함께 명령어 실행 > cat test.txt t.txt >> testAndT.txt # t.txt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This is t..

ls 명령어 list, 현재 경로에 있는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 옵션 (자주 쓸만 한 것만 정리함) -l(long) : 길게, 자세한 정보화 함께 보여줌 -a(all) : 숨김 파일까지 모두 보여줌 -S(Size) : 용량이 큰 순서대로 보여줌 -h(human redable) : 용량을 보기 편하게 표시해 줌.

리눅스에서는 디스크나 하드웨어, 디바이스까지 모든 것을 파일로 인식하고, 파일로써 다룬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i-node Index Nod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 구조이다. i-node에는 파일의 권한,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생성 시간, 수정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index : 어떤 내용을 빨리 찾아내기 위해 일정한 순서로 정리해놓은 목록(=목차) node : 데이터를 갖고 있는 종단 지점.(컴퓨터, 휴대폰, 프린트 등의 장치를 의미) i-node 번호 i-node 번호는 각 파일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이다. 데이터(파일)를 빠르게 찾기 위해 순서대로 정리한 정보라고 봐도 된다. 이 번호는 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의 차이점을 정리..
> sshpass -p [수신 측 서버 비번] scp [옮길 파일] [수신 측 계정]@[수신 측 ip]:[수신 측 경로]

MySqlDB 설치 과정 MariaDB repository 추가 install MariaDB 방화벽 포트 개방 MariaDB 데몬 실행 실행 확인 1. yum MariaDB.repo 외부 저장소 추가 Yum Repository는 Package를 모아놓은 저장소입니다. yum을 통해 package를 설치할 때, 활성화된 yum Repository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1-1. MariaDB 저장소 추가 > vim /etc/yum.repos.d/MariaDB.repo # MariaDB.repo 내용 [mariadb] name = MariaDB # baseurl = http://yum.mariadb.org/버전선택 baseurl = http://yum.mariadb.org/10.4/centos7-amd..

shell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sh는 bourne shell이라고 하며 가장 기본적인 쉘이고, shell의 절대 경로는 '/bin/sh'입니다. shell이란 사용자와 커널을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shell을 실행시켜 커널에 명령을 하는 것입니다. sehll은 여러가지 형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크게 두가지로는 csh와 ksh가 있습니다. csh는 c언어로 관리자 중심으로 만들어진 shell이고, ksh는 korn shell이라고 불리며 사용자 중심으로 만들어진 shell입니다. csh는 후에 tcsh로 확장이 되었습니다. linux는 bash라는 shell을 사용하며, bourne again shell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bash는 csh의 관리적인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