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ubnetmask
- Docker
- vue.js
- CI/CD
- error
- grafana
- java
- Linux
- jpa
- gradle
- jenkins github
- 리액트
- Spring Boot
- docker network
- jenkins jdk
- 리눅스
- IntelliJ
- spring
- MongoDB
- MySQL
- jenkins install
- Jenkins Pipeline
- Jenkins
- grpc
- jenkins maven
- nginx
- jenkins 설치
- REACT
- jenkins github 연동
- JavaScript
Archives
- Today
- Total
728x90
목록linux 파일 (1)
뭐든 즐기면서 ;)

리눅스에서는 디스크나 하드웨어, 디바이스까지 모든 것을 파일로 인식하고, 파일로써 다룬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i-node Index Nod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 구조이다. i-node에는 파일의 권한,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생성 시간, 수정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index : 어떤 내용을 빨리 찾아내기 위해 일정한 순서로 정리해놓은 목록(=목차) node : 데이터를 갖고 있는 종단 지점.(컴퓨터, 휴대폰, 프린트 등의 장치를 의미) i-node 번호 i-node 번호는 각 파일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이다. 데이터(파일)를 빠르게 찾기 위해 순서대로 정리한 정보라고 봐도 된다. 이 번호는 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의 차이점을 정리..
서버/Linux
2024. 1. 9. 19:02
728x90